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가상화폐 기초

[비트맥스 기초 6] 손실 지정가 주문

반응형

안녕하세요 파생인입니다.

이번 글에선 손실 지정가 주문에 대해 알아볼게요.

손실 지정가 주문을 하기 위해선 아래 사진의 빨간 박스와 같이 클릭해주세요.

손실 지정가 주문

손실 지정가 주문이란 해당 포지션에서 손실이 발생했을 때, 해당 종목의 가격이 지정해놓은 가격에 달성하면 지정가 주문을 넣는 거래에요.

 

 

 

 

 

 

 

 

 

 

손실 지정가 주문 매수 역지정가 설정

위 사진의 상황은 현재 7536.5달러인 비트코인이 지정해놓은 7600달러 달성 시 7550달러에 매수 주문을 넣는 거예요.

7536.5달러에서 7600달러로 올라갔지만 손실이 발생했다면 포지션은 공매도(Short) 포지션이겠죠? 따라서 비트코인이 7600달러 달성 시 공매도했던 비트코인을 7550달러에 매수 주문을 넣는 거에요.

 

 

 

 

 

 

 

 

 

 

 

 

손실 지정가 주문 매도 역지정가 설정

반대로 현재 7538.5달러인 비트코인이 지정해놓은 7300달러 달성 시 7350달러에 매도 주문을 넣는 거에요.

7538.0달러에서 7300달러로 떨어졌는데 손실이 발생했다면 공매수(Long) 포지션을 잡고 있었을 거에요. 따라서 비트코인이 7300달러를 달성 시 공매수 했던 비트코인을 7350달러에 매도 주문을 넣는 거에요.

 

 

 

 

 

이익실현 지정가를 잘 이해하셨다면 손실 지정가 주문은 반대의 개념이니 이해하기 쉬우셨을 거에요.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에 쓸 수 있는 나쁘지 않은 주문 방법이에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